마인크래프트를 접한지 몇달도 채 되지 않았을 무렵이었다.
당시에는 화우 동아리원들과 함께 하마치로 서버를 열어서 플레이했다. 인력이 부족한 만큼, 자동화공장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부족한 자원은 슬라임볼 이었는데, 슬라임은 늪지대에서나 가~끔 생성되는 몬스터였다. 그래서 슬라임은 정말 마주치기 힘든 희귀 몬스터였다.
어느날 나와 로로는 동굴을 탐험하던 도중 슬라임과 조우했다. 이게 왠 떡이냐며 기뻐하고 있을 무렵 문득 슬라임이 있을만한 곳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후에도 정말 가끔 슬라임을 동굴에서 마주치고나서는 슬라임 생성 시스템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위키를 찾아본 결과, 슬라임은 늪지대 뿐만 아니라 특정 높이 이하의 특정 청크에서도 간혹 스폰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이용해 슬라임 농장을 만들기로 결심하였다.
슬라임은 오버월드 "슬라임 청크"에서 높이 40 이하에서 밝기에 관계없이 생성된다. 또한 늪 생물 군계에서 Y=40 ~ 70에서 밝기 7 이하에서 스폰된다. 자연적으로 스폰되는 슬라임의 크기는 1, 2, 4만 있다. /summon 을 사용하면 1 ~ 256 크기의 슬라임을 만들 수 있다.(NBT Size 태그 0–255). 슬라임은 플레이어의 24 블록 이내에서는 스폰되지 않으며, 32 블록 내에 플레이어가 없으면 일정 시간후 디스폰되고, 128 블록 이내에 플레이어가 없을 경우엔 즉시 디스폰된다. 슬라임이 스폰되려면 수직으로 투명한 블록이 2개 있고, 아래에 불투명 블록이 있어야 한다. 반드시 고체 장애물과 액체가 없어야 한다. 대형 슬라임은 3×2½×3 블록의 공간이 필요하며, 중형 슬라임은 3×2×3의 공간, 소형 슬라임은 1×2×1 공간이 필요하다. [1] 슬라임의 크기는 지역 난이도의 영향을 받는다. 쉬움 난이도에서는 모든 크기가 33%의 확률로 골고루 나오지만, 난이도가 높으면 16%가 소형, 33%가 중형, 50%가 대형으로 스폰된다. 출처: https://minecraft-ko.gamepedia.com/%EC%8A%AC%EB%9D%BC%EC%9E%84 |
슬라임을 죽이는 방법은 물을 이용한 익사다. 물을 이용해 슬라임을 한곳으로 모은다음 익사시키는 방법인데, 슬라임은 플레이어가 없으면 즉시 디스폰 되기 때문에 공장 근처에 지속적으로 있어주어야 한다.
화우크래프트 2016.10.23 슬라임공장 자랑 스크린샷
그렇게 만들어진 첫 슬라임 공장! 두 청크가 붙어있는 크기임에도 너무 컸다. 둘이서 몇시간씩 굴을 파대며 완전한 슬라임 공장은 너무 뿌듯했다. (이 당시에는 월드에딧을 몰랐다.)
나중에 여유가된다면, 슬라임 공장 만드는 법을 동영상으로, 소개해야겠다.
'다솜 추억저장소 > Season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oto by BAJLSACK (0) | 2019.07.23 |
---|---|
마인크래프트 1.14 스크린샷 모음 (0) | 2019.05.08 |
이름만 던바튼 농촌마을 같은 그곳. (0) | 2019.03.04 |
마인크래프트로 던바튼 만들기! (2) | 2019.03.04 |
마인크래프트 게임 속에서 미니맵 만들기! (0) | 2019.03.04 |